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눈꺼풀에 생기는 화농성 염증 다래끼의 종류 및 치료법과 약 추천

by Rari's 2023. 9. 22.

목차

    눈꺼풀에 생기는 화농성 염증 다래끼의 종류 및 치료법과 약 추천

    안녕하세요. 오늘은 눈꺼풀에 생기는 염증 다래끼의 종류, 발생원인, 치료법 및 예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다래끼란
    2. 다래끼 발생 원인
    3. 다래끼의 종류
         3-1. 겉다래끼
         3-2. 속다래끼(맥립종)
         3-3. 콩다래끼(산립종)
    4. 다래끼 치료 및 예방
    5. 다래끼 약국 약 추천

    다래끼란?

    눈꺼풀에 생기는 화농성 염증의 통칭. 눈꺼풀에는 여러 종류의 분비샘에 발생한 급성 염증을 다래끼라고 합니다.

    심한 경우 고름이 잡히기도 하며, 안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대부분은 이렇게 고름샘이 잡혀있는 상태로 방문합니다. 눈꺼풀과 그 주위가 붓는 것은 물론이고 눈 전체가 심하게 붓기도 하며, 매우 심한 경우 얼굴 전체가 부어오르기도 합니다.

    다래끼 발생 원인

    손으로 눈을 자주 비비거나 렌즈를 장시간 착용하거나, 진한 눈화장을 오래 유지할 때 잘 발생합니다. 이 때문에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는 질환.

     

    선크림 제품 사용 후에도 생길 수 있으니 클렌징을 꼼꼼히 해야 하며, 면역과도 상관이 있는데, 피로할 경우 신체 면역이 떨어지므로 쉽게 발생하고 음식과는 큰 상관은 없습니다.

    다래끼의 종류

    겉다래끼

    눈꺼풀 가장자리 전체가 퉁퉁 부어오르는 다래끼.

    속다래끼(맥립종)

    눈꺼풀 안쪽에 여드름처럼 하얀, 노란 농양점이 나타나는 다래끼.

    콩다래끼(산립종)

    눈꺼풀 가장자리의 피부 밑에 딱딱한 결절이 만져지지만, 부어오르거나 아픈 것은 없는 다래끼

    다래끼 치료 및 예방

    다래끼가 나면 다 나을 때까지 술은 마시면 안 되는데, 이건 사실 모든 염증성 질환의 공통입니다. 술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염증 조직의 혈류를 증가시키기에 염증 반응을 심화시키기 때문.

    통증이 좀 많지만 겉다래끼나 속다래끼의 경우 약 일주일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는 경우가 많은 병이나 그냥 두는 것보다는 안과에 가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약국에서 파는 다래끼용 화농증 치료제를 먹으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조기 회복을 위해서는 병원 방문이 효과적이고, 초기에 가면 대부분 약으로 치료하는데, 세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와 소염제를 섞어서 사용합니다. 먹는 약과 안약을 동시에 처방하는 경우가 많은 편. 약물 치료를 하면 그냥 놔두는 것보다 치료가 빠릅니다.

     

    콩다래끼의 경우 약이 잘 들지 않고 지속기간이 길기 때문에 온찜질이 필수. 온도가 높으면 고름주머니의 입구가 확장되어 고름의 배출이 빨라지기 때문. 뜨거운 물에 적신 타월을 다래끼 난 부위에다 살짝 눌러주면 됩니다. 하루 최소 한 번에서 네 번, 한 번에 5~ 15분 정도가 적당하며, 찜질 후 비눗물로 가볍게 씻어내면 효과가 더욱 좋습니다.

     

    초기에 치료되지 않으면 농다래끼가 난 부분을 절개하여야 하는데 수술 요법은 꽤나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기에 초기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일반적인 다래끼 수술요법은 눈을 안약이나 주사로 마취시킨 뒤 메스로 눈꺼풀 살을 째고 고름을 빼내는데, 주사로 마취를 할 경우 다래끼 쨀 때 참을 만 하지만, 안약으로 마취할 경우 마취 효과가 사실상 거의 없어서 다래끼를 쨀 때 매우 아프며 감각이 그대로 느껴집니다. 차라리 주사로 마취하는 게 효과적이고 마취 주사를 놓는 몇 초 정도의 아픔을 참으면 되고, 마취 주사가 잘 든다면 다래끼 째는 동안 통증이 거의 없는 게 대부분. 

    통증에 대해 걱정이 된다면 의사와 상담 시 처음부터 마취 주사로 해달라고 어필하고 마취 주사로 해주지 않는다고 하면 다른 병원을 알아보는 걸 추천합니다.

    다래끼 약국 약 추천

    다래끼가 생기고 주말이라 병원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는 안약으로는 시크린원, 아이수점안액, 신토톱쿨점안액등이 있으며,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고, 다래끼는 결국 농이 배출되면서 낫게 되는데 약국에서 판매하는 농의 생성과 배출을 촉진시키는 제품으로 해농정, 노퍼스, 배노신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눈꺼풀에 생기는 화농성 염증 다래끼의 증상, 종류, 치료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모든 병들이 그렇지만 혼자 낫겠지 하는 마음으로 그냥 방치하시지 마시고 간단히 약치료가 가능할 때 약국이나 병원에 가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