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만성 기도 염증 질환 천식의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by Rari's 2023. 10. 16.

목차

    만성 기도 염증 질환 천식의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만성 기도 염증 질환 천식의 원인 및 증상, 치료법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천식이란?
    2. 천식이 생기는 원인
    3. 천식의 증상
    4. 천식 치료법
    5. 비염과 천식의 차이
    6. 천식에 좋은 음식

    천식이란?

    기도 과민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 기도 염증 질환이며, 증상으로는 기침,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등이 있고 밤이나 새벽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알레르기성 반응이라 완치는 불가능한 병이고 건강의 상태에 따라서 그 증상도 심해질 수 있고 심하지 않을 수 도있습니다. 심각할 때는 호흡곤란으로 인한 사망에 까지 이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천식이 생기는 원인

    천식의 원인이 되는건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털, 바퀴, 식품, 약물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가습기 살균제 흡입이 있습니다. 그 천식을 악화하는 요인이 있는데 감기, 담배연기, 실내ㆍ대기오염, 운동 등 신체적 활동, 기후 변화, 황사,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담배연기는 특히나 천식 환자에게 매우 치명적인데, 주변 사람들 중 그 사람이 천식인지 아닌지 일부러 기침을 하거나 호흡곤란을 일으키지 않는 한 알지 못하니 환자를 옆에 두고 그냥 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천식 환자 중에서도 흡입기를 하면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 들도 있는데 알레르기 반응이 없을 때는 천식이 발병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피우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아주 위험한 행위이니 담배를 끊는 것을 권장합니다.

    천식 환자들은 특히나 감기, 독감등 호흡기 질환을 조심해야 하는데, 천식환자들이 일반인들에 비해 감기를 더 자주 걸리고 증상도 더 심할 뿐 아니라 호흡기 바이러스가 천식의 직접적인 악화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천식의 증상

    기침, 호흡곤란이 주 증상이고, 천명이라는 특유의 숨소리를 내는 증상이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알레르기 질환으로 비염, 피부염등과도 함께 동반 됩니다.

    천식 치료법

    천식은 완치는 없기 때문에 증상의 완화 및 발생 횟수를 줄이는 치료이며 가장 기본적으로는 집먼지진드기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식 약물치료는 증상 완화제와 질병 조절제를 사용하는데 알레르기 질환의 특성상 흡입제 형태의 약물이 대부분이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경구약 복용도 할 수 있습니다.
    천식 증상 완화제로는 주로 속효성 흡입베타 2 항진제를 사용하고,  질병 조절제는 지속성 베타2 항진제, 흡입스테로이드가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로 효과가 없거나 심해졌을 경우에는 잔틴계 약물, 류코트엔 조절제, 면역치료제, 부교감신경차단제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존 약물에 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비염과 천식의 차이

    비염도 굉장히 고통을 동반하는 질병이지만 천식에 비하여 좀 더 나은 편인데, 비염은 직접적인 생명의 위협을 가하지는 않지만 천식은 생명이 위험할 수 도 있는 질병입니다.

    비염은 담배, 꽃가루, 먼지 등이 원인이긴 하지만 항히스타민제를 먹으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천식은 알레르기 물질과 접촉해 반응하고 즉시 약을 투여하지 않으면 큰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호흡곤란으로 쓰러지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천식은 약이 없으면 쓰러지는 경우가 좀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비염으로 인해 천식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두 가지 다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으니 그런 경우에는 꾸준한 치료 또는 수술등으로 치료를 하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천식에 좋은 음식

    천식에 좋은 음식으로는 아보카도, 브로콜리, 사과, 바나나, 생강, 시금치, 로즈메리, 해바라기씨, 민트, 비타민C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만성 기도 염증 질환 천식의 원인 및 증상, 치료법등에 대하여 알아 보았는데요. 알러르기성 질환인 만큼 예방이 중요하고 집안의 먼지, 진드기등을 피해 천식이 발병하지 않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